국립암센터 "암세포 에너지원은 포도당 아닌 지방산"
"암세포, 지방산 산화에 의존"

www.hankyung.com/it/article/202009147300i

메이요클리닉(Mayo Clinic, 미국)

- 약물 : 세놀리틱스(Senolytics)

- 원리 : 나이가 들어가면서 축적되고 있는 세포들을 제거

- 단계 : 임상실험

- Ref. : https://tinyurl.com/s8garqb

 

알카헤스트(Alkahest, 미국)

- 원리 : 젊은이의 혈액에서 발견되는 성분을 의약품화해 알츠하이머 환자에게 주입해 인지 기능 저하 억제

- 단계 : 알츠하이머, 파킨슨, 치매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진행 중

- Ref. : https://tinyurl.com/s8garqb

바람만 불어도 아프다고해서 이름붙여진 통풍은 체내에 요산이 과도하게 쌓여서 생기는 질병이다.


주로 관절부위에 요산이 결정으로 쌓이고, 몸의 면역계가 그 요산 결정을 외부물질로 규정하고 공격하면서 통증이 발생하는데,


그 고통은 죽고 싶을 만큼 엄청나다고 한다. ㅡㅡ;;;


원인은 유전, 당뇨, 신부전, 음주 등등 여러가지가 있는데,


특히 알콜과 단백질이 안좋고, 특히 맥주가 매우 좋지 않다.


왜냐하면 맥주의 주성분인 홒에는 요산의 전구물질인 퓨린이 아주 많이 들어가 있어서, 체내의 요산 수치를 높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를 보면 2007년 통풍 진료 인원은 16만명이었으나 2012년에는 26만명이 넘었다. 남자가 90% 이상을 차지한다.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410162030175&code=900303#csidxebe8486cf54dadfa60b69f15378163b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를 보면 2007년 통풍 진료 인원은 16만명이었으나 2012년에는 26만명이 넘었다. 남자가 90% 이상을 차지한다.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410162030175&code=900303#csidxebe8486cf54dadfa60b69f15378163b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를 보면 2007년 통풍 진료 인원은 16만명이었으나 2012년에는 26만명이 넘었다. 남자가 90% 이상을 차지한다.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410162030175&code=900303#csidx4f35cc19772da79938290b64ff7fe09

2007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서 통풍환자는 16만명이었으나 2012년에는 26만명이 넘었다. 그중 남자가 90% 이상을 차지했다. ㅡㅡ


그리고 치료법...


현재 효과적인 치료법은 거의 전무하다.


오로지 예방이다. ㅡㅡ;;;


본인도 맥주를 아주 아주 많이 많이 좋아하지만.... 하아...


소동파가 복어를 가르켜, 죽음과 맛바꾸는 맛이라고 했던가...



양친으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자가 불균형하게 발현되는 것이 미국 유타대 크리스토퍼 그렉( Christopher Gregg) 신경생물학 및 해부학 조교수의 연구팀에 의해 보고되었다.

연구팀은 몇 가지 불균형한 유전자 정보 발현을 관찰하였다.

1. 갓 태어난 실험용 쥐의 뇌를 분석한 결과, 기분을 조절하는 화학물질인 세로토닌을 분비하는 등쪽 솔기 핵(dorsal raphe nucleus)의 유전자 중 약 85%가 모계와 부계의 복제 유전자를 차별해서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태어난 지 10일 후에는 양상이 바뀌면서 두 사본 전체 유전자의 10%를 제외하고는 모두 동등하게 활성화됐다.

2. 사람에서는 부모 중 한 쪽에게서 물려받은 자폐증 및 지적 장애와 관련된 DEAF1이라는 유전자가 뇌의 여러 부위에서 우선적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인간을 대신한 영장류에 대한 조사 결과 헌팅턴 병, 조현병(정신분열증), 주의력 결핍장애, 쌍극 장애와 관련된 유전자를 비롯한 다른 많은 유전자에서도 같은 현상이 일어났다.

4. 유전자 변형 쥐의 일부 뇌세포가 건강한 유전자보다 돌연변이된 유전자를 우선적으로 활성화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흥미로운 것은 보다 양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자중에서, 안좋은쪽의 유전자가 주로 우선적으로 발현됬다는 것이다.

어쩌면 이것은 진화의 메커니즘일 수 도 있다. 돌연변이된 유전자를 우선적으로 발현시켜 새로운 개체를 만들어서 자연에 적응력을 테스트하는 것일수도 있지않을까 하고 개인적으로 생각해본다.

이 연구는 더 많은 연구를 통해 메커니즘을 규명해야하지만, 우리는 양친의 병력에 대해 더 많은 대비를 해야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물론 이 연구가 뇌에 국한된 연구이지만 말이다. 이 연구팀의 추후 연구가 기다려지는 이유이다.

얼마전 크리스마스가 지났는데, 아이들에게 장난감을 사주신 부모님들이 주의해야 할 뉴스가 나왔다.


- 중국산 인형에서 프탈레이트(환경호르몬) 검출 됨 -

기준치 : 0.1%

검출 : 41.03% (기준치의 410배)

효과 : 다이옥신 등과 함께 대표적인 환경호르몬 물질, 내분비계에 영향으로 인한 성장 발달에 악영향


그 외에도 1,300여개 가운대 177개 제품에서 기준치를 넘는 환경 호르몬이 검출 됨


금속으로 된 중국산 완구에서도 기준치에 3만배에 가까운 니켈이 검출 됨.


SBS : 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1572212

-----------------------------------------------------------------------


환경 호르몬은 자연에서 어류의 성별을 바꿀 정도인 독성 물질이고, 


중금속 역시 그 위험을 이루 말 할 것 없이 독성 물질이다.


중국은 언제쯤 무독한 제품들을 만들어 낼런지...


그리고 이 정도는 통관절차에서 걸러야 하는거 아닌가?


많은 현대인들이 아름다운 몸매를 위해 칼로리 섭취를 낮추는 다이어트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칼로리 섭취 저감화식 다이어트가 인체의 노화에도 도움을 준다는 연구결과가 최근 보고되었다.


또한 이러한 항노화의 작용으로 알츠하이머, 암, 심장병 등의 위험도 감소시켜줄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현대인은 고칼로리에 대한 노출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로인한 체형의 붕괴, 성인질병의 증가 등으로 일부 영양학자들은 육류섭취를 주장하지만,


이 또한 축산업의 영향을 받은게 아닌가 의심이 된다.


육류섭취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가축 사육 환경의 저질화와,


이로인한 육류가공품의 저급화로 인해 인간의 건강도 불균형에 빠졌기 때문이다.


예를들면 가축의 증체량을 늘리고자 곡물사료의 섭취량이 늘게되면서,


돼지고기는 과거에 비해 지방의 양이 엄청나게 증가하였다.


삼겹살의 경우 과거에 비해 지금은 비계가 절반을 넘는다.


이로인해 삼겹살을 섭취하면 고지방 식이로 이어지고, 이것은 다시 심혈관계질환으로 이어진다.



여러가지 다이어트방법이 인터넷을 떠돌고 있지만,


몸무게 감소 효과와 건강 증대 효과를 동시에 얻을수 있는 다이어트 방법은


1. 저칼로리 식단 


칼로리 섭취를 끊어서는 안된다. 그 양을 줄이라는 것이다. 


현미와 같은 난소화성 곡물로 대체하는 것도 매우 좋다. 


하지만 난소황성이라고 섭취량을 늘리는 것은 당영히 안된다. 


내 주위에 다이어트를 한다고 난소화성이나 닭가슴살 등을 먹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 사람들은.. 매우 많이 먹는다. 아주 많이 먹는다. ;;


2. 고단백 식단


고단백을 위해 육류섭취 보다는 콩가공식품이 더 훌륭하다.


콩은 고단백이면서 동시에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등, 체내 지방 밸런스를 


바로잡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다.


그리고 현대인, 특히 한국인의 육류섭취 횟수 및 양은 과하게 높은 수준이다.


이로인한 가축 사육 환경 저질화로부터 이어지는 육류품질저질화로 인간의 건강 


밸런스까지도 위협이 되고있다.


항생제 과다 사용, 사료의 저질화 등등 이것이 육류에 축적되어 인간에게까지 


이어지기 때문이다.


3. 야채 및 과일 섭취량의 증대


야채 및 과일의 섭취의 이득은 꼭 일일이 연구자료들을 예로 들지않아도 상식으로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비타민만 예로 들더라도, 지금까지도 이슈가 되고있는 천연 비타민과 합성 비타민과의 


차이라든지, 우리가 건강기능성식품이라고 불리는 것들도 식용 천연물로부터 추출되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그런 제품들을 일부러 고가에 돈을주고 사먹느니, 식단에서 야채의 섭취를 늘리는 것이 


더욱 현명한 일이다.



-------------------------------------------------------------------


관련 자료 :  http://mirian.kisti.re.kr/gtb_trend/pop_gtb_v.jsp?record_no=235550&site_code=SS1026


: 만성 질환으로 인한 세포 손상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방법에 대한 돌파구 제시

 

캘리포니아(CA) 샌프란시스코(San Francisco) 2012 12 6,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샌프란시스코분교의 글래드스톤 (Gladstone) 연구소는 저탄수화물 식품과 저칼로리 식사인 케톤체생성식사 (ketogenic diet)가 노화를 늦출 수 있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발견했다. 이 근본적인 발견은 식습관,식사가 얼마나 노화 진행 속도를 늦추는지 나타냈으며, 이것은 언젠가 과학자들에게 더 나은 치료 또는 알츠하이머 질환과 여러 암 형태 그리고 심장병을 포함한 노화 관련 질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노령인구가 계속 증가함으로써 노화 관련 질병은 점점 더 흔한 일이 되고 있다. 이미 미국인의 6명 중 1명은 65 세 이상이다. 심장병은 지속적으로 미국의 사망률 1위이며 암과 알츠하이머병이 바싹 뒤쫓고 있다. 이러한 질병은 환자, 가족 및 의료 시스템에 엄청난 부담을 준다. 그러나 오늘날, 글래드스톤 연구소 선임 연구원 에릭 버딘(Eric Verdin) 의학박사 실험실의 연구원들은 인간의 몸에서 화합물이 노화 과정에서의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내고 다양한 노화 관련 질병을 치료하고 방지하는 새로운 치료를 위한 열쇠가 될 수 있을지 밝혔다.

 

최근 저널<Science>에 게재된 연구논문에서, 버딘 박사와 그의 연구팀은 장기적인 저칼로리 또는 케톤체생성 식사 동안 생성되는 케톤체 (ketone body)라고도 불리는 화합물 베타-히드록시부티르산염(β- hydroxybutyrate, βOHB; 세균이 탄소와 에너지원의 저장용으로 사용)의 기능을 조사했다. βOHB와 같은 케톤체들은 1형 당뇨병과 같은 질병이 있는 사람에 매우 높은 농도로 존재하면 독성이 될 수 있는 반면, 본 연구팀은 낮은 농도의 βOHB는 신체에 독성 수치를 높이며 노화 과정에 관여하는 특정 분자에 의해 발생하는 산화스트레스(oxidative stress, 활성산소 생산계 및 소거계(消去系)의 균형에 의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던 생체 산화수준이 약제, 방사선, 허혈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이러한 균형이 무너진 상태)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발견했다.

 

버딘 박사는 지난 몇 년 동안의 연구에서 칼로리 규제는 노화를 늦추고 수명을 증가시켰다는 것을 알아냈지만 이런 효과의 메커니즘은 알아내기 힘든 상태로 남아있다고 말했다. 버딘 박사는 본 연구논문에서 운동이나 금식 중에 신체의 주요 에너지원인 βOHB는 산화스트레스를 촉진할지 모르는 효소들을 차단하고 따라서 노화로부터 세포를 보호한다.

 

세포는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 산소를 사용함으로써 산화스트레스가 발생하지만 또한 활성산소로 알려진 잠재적인 다른 독성 분자들도 배출한다. 세포가 노화되어감에 따라 세포 손상, 산화스트레스 그리고 노화로 이어지는 활성 산소 제거가 덜해진다. 그러나, 버딘 박사와 그의 연구팀은 βOHB가 실제로 이러한 과정을 지연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일련의 실험에서, 첫 번째로 인간 세포에서 마우스 조직 (tissue)에서, 연구팀은 만성적인 칼로리 제한 다이어트 동안 βOHB를 투여했을 때 발생하는 생화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연구원들은 칼로리 제한 다이어트는 히스톤-디아세틸라제(histone-deacetylases, 암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소) 또는 HDACs라고하는 효소의 활성을 차단하는 βOHB를 생산하도록 자극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일반적으로 HDACs Foxo3a(forkhead 유전자계에 속하며 노화, , 당뇨병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짐) Mt2(멜라토닌 수용체로, 인슐린 방출은 멜라토닌에 의해 조절됨)라고 하는 유전자 쌍의 유전자 작동을 끈다. 그러나 증가된 βOHB 수치는 이 두 유전자를 작동하지 못하게 하는 HDACs를 방해한다. 일단 활성화되면, 이들 유전자들은 세포가 산화스트레스에 저항하는데 도움을 주는 과정을 시작한다. 이러한 본 연구의 발견은 βOHB에 대한 새로운 신호 역할을 발견했을 뿐 아니라 신체의 모든 세포에 좋지 않은 영향인 노화를 지연시키는 방법 또한 나타낸다.

 

글래드스톤 연구소의 신경 질환 전문가인 카트리나 (Katerina Akassoglou) 박사는 본 연구결과는 또한 신경 질환과 노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이미 알려진 HDACs의 근본적인 메커니즘을 이해하는데 큰 발전을 이루었다고 말했다. 본 연구의 발견은 수백만을 괴롭히고 몇 가지 안되는 치료법이 있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자폐증 및 외상성 뇌손상과 같은 광범위한 신경 상태 질환에 의의가 있을 수 있다.


흡연의 위해는 많이 알려져있다. 폐암, 뇌졸중, 심근경색 등이 그 위해의 결과물이다. 


- 흡연이 뇌에 미치는 영향


영국 킹스칼리지런던의 연구팀이나이와 노화(Age and Ageing)’저널에 최근 발표한 논문의 내용에 따르면, 흡연은 고혈압이나 비만보다도 뇌에 더욱 큰 손상을 입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발병 위험은 인지능력 저하와 큰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나타났다. 또한 흡연자는 인지능력 점수가 낮은 것으로 일관성있게 나타났다. 영국 알츠하이머연구소의 사이먼 리들리 박사는흡연과 고혈압이 인지능력을 떨어뜨리고 치매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는 많다면서이번 연구는 여기에 또 다른 증거를 보태는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담배 피우면 뇌가 부식된다, http://www.kormedi.com/news/article/1205235_2892.html


매년 전세계적으로 100만명 이상의 여성이 유방암으로 진단받는다. 여성 일생 중에 침습적인 유방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은 12% 미만이다. 20만 명의 여성들이 미국에서, 43만 명의 여성들이 유럽에서 매년 새롭게 유방암으로 진단 받는다. 전이성 유방암은 유방의 암 조직이 인체 내 다른 기관으로 퍼진 암을 지칭한다.


1. 유방암 검진

암은 조기 검진이 제일 중요하다. 본인의 어머니도 자궁암을 조기에 발견하여 최악의 상황을 피할 수 있었다. 그런데 국가건강검진을 통해 조기 검진을 받는 국민이 많은데 국가 건강 검진 서비스의 유방암 오진율이 심각할 정도로 높은 것으로 취재되었다.

(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1571984)

보건복지부 내부 보고서에 따르면2013년 기준으로 5년간 국가 유방암 검진에서 양성판정을 받은 사람들 가운데 암 확진자는 3천 200명인데 반해, 음성 판정을 받은 사람들 가운데 암 확진자는 6천 명으로, 양성보다 음성에서 암환자 수가 2배나 더 많았습니다.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따라서 현재 국가 건강 검진 시스템은 안심할 수 없는 수준이므로, 반드시 주기적으로 대형 병원에서 종합검진을 받아야한다. 

국가검진이 시행되는 의원급 검진기관들도 검진의 품질을 측정하는 정도 관리 실시율이 2013년 1월 기준 40%인데, 대형 병원과 동일한 100%로 시정하면 국가 건강 검진 시스템도 안심하고 믿을 수 있을 것이다.



2. 치료제 

안트라사이클린(anthracycline)과 탁산(AT, taxane)은 유방암 치료에 가장 활성이 있고 널리 사용되는 항암화학요법 치료제이다. 그러나, 질병의 초기 단계에서 이 약물들의 사용 증가는 종양의 저항성을 일으키고, 전이성 질환으로 발전했을 경우에 치료 옵션을 감소시킨다. AT 치료의 반응률은 20~30% 정도이다. 그러나, 저항성은 빠르게 발전하고 선행약물에 대한 저항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topoisomerase 1 저해제와 같은 다른 작용 기전의 새로운 약물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FDA로부터 유방암 치료제로 승인 받은 topoisomerase 1 저해제는 없다.

 

l  Nektar TherapeuticsNKTR-102(etirinotecan pegol)

안트라사이클린(anthracycline), 탁산(taxane)과 카페시타빈(capecitabine) ATC 치료 후에 진행하는 국소적인 재발 또는 전이성 유방암 환자의 치료

미국 FDA의 우선 심사대상으로 지정됨

원료 물질 : etirinotecan pegol

-       안전성과 유효성 프로파일과 후보약물이 보다 유효하게 전달되고 이러한 환자들에게서 보다 양호한 내약성을 보이는 치료법의 가능성

-       인체 안에서 약물의 분포를 변환시킴으로써 이리노테칸(irinotecan)의 유효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디자인 됨

-       유방암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다른 약물들의 기전과 겹치지 않음

-       topoisomerase 1을 표적으로 하는 저해제

-       암의 상호저항성을 감소시키고, 중복된 독성들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현재 BEACON(BrEAst Cancer Outcomes with NKTR-102; ClinicalTrials.gov Identifier NCT01492101) 임상 3상 시험 평가 중(2013년 말 완료 기대)

-       임상 3상 시험은 ATC 선행치료를 받은 약 840명의 전이성 유방암 여성환자를 모집할 예정

-       1차 시험평가 목표는 전체생존기간(overall survival)

-       2차 시험 평가 목표는 두 군의 환자에게서 무진행생존기간(progression-free survival), 종양 치료반응률, 임상적 이득률, 반응기간, 약물동태학적 결과, 안전성, 삶의 질 측정과 보건의료 자원 활용의 측정


 

출처 : 우선심사 지정받은 전이성 유방암 치료제, http://mirian.kisti.re.kr/gtb_trend/pop_gtb_v.jsp?record_no=234188&site_code=SS1026


현재 유일한 진행성 간암에 대한 표적 치료제로 바이엘과 오닉스 파마의 '넥사바'(Nexavar)이다.


넥사바는 표적 치료제로 5년 전에 승인됐다.

 

다른 다국적제약회사들도 간암 치료제를 개발중이지만 순탄하지는 않다.


- 실패한 약물들


1. BMS의 브리바닙'(Brivanib)

   섬유아성장촉진인자 수용체(fibroblast growth factor receptors) VEGF 신호의 이중 억제제

   BRISK-FL 임상 3상에서 1차 치료제로 넥사바와 비슷하다는 것을 보여주지 못함.


2. 애보트의 ABT-869(linifanib)

    멀티키나제 억제제

    임상 3상에서 넥사바에 비해 우수하다는 것을 입증하는데 실패

 

3. 화이자의 수텐(Sutent, sunitinib)

    넥사바에 비해 부작용이 더 높아 2010년 임상 3상을 중단

 

- 현재 개발중인 약물들


1. 노바티스의 아피니토(Afinitor, everolimus)

   mTOR 억제제

   임상 3상 중

 

2. 릴리의 IMC-1121B(ramucirumab)

   2차 요법제, VEGFR-2의 단클론 항체 억제제

   넥사바 치료에 실패한 환자를 대상으로 비교 임상 3상 중

 

3. 셀션(Celsion) 테모독스(ThermoDox)

   약물 방출에 열을 가해 사용하는 리포좀에 항암제 독소루빈신(doxorubicin)의 캡슐 제형

   고주파 제거(RFA:radiofrequency ablations)와 병용요법을 RFA 단독요법과 비교하는 임상 3상을 진행 중


4. 나이트 사이언스 온코로지(Light Sciences Onology) 아토신(Aptocine, talaporfin sodium)

   표적 조직을 공격하는 일중항 산소(singlet oxygen)가 생성된 광-활성 약물

   HCC(Hepatocellular carcinoma)에 임상 3상을 완료했지만 결과는 발표하지 않았다고 밝힘

 

5. 오츠카의 YSU-68(orantinib)

   VEGFR-2, PDGFR, FGFR의 경구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sation과 병용 

   임상 3상 환자를 모집 중


6.  포라리스 그룹(Polaris Group)의 ADI-PEG 20

    아르기닌 분해 효소, 근육 내 주사 

    임상 3상에서 이전 침투성 치료에 실패한 633명의 환자를 모집

 

7. 아르 큘(ArQule)  ARQ 197(tivantinib) 

   c-Met 억제제, MET는 티로신 키나제 수용체, 특이 환자 그룹에서 2차 간암 치료제로 유망함

   임상 2상 완료


출처 : 간암 치료 미래 낙관적, 메디팜스투데이, http://www.pharms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94505


현재 미국에서 수백만 명이 종합비타민 영양보조제를 복용하고 있지만 심장병 예방에 별다른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되었다. , 지난 10년 동안 15000명의 남성 의시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된 결과, 종합비타민 영양보조제가 심혈관 질환 예방에 별다른 효력이 없다는 주장이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를 발표한 미국 하버드 의대의 Howard Sesso 박사는일반적으로 비타민 영양보조제를 복용하는 사람은 건강에 좋겠지 생각하지만 실제로 건강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증거들을 중심으로 의학적 결론을 유도하여 그 효과를 입증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를 미국 로스앤젤레스 시에서 열리는 미국 심장협회의 학술모임에서 발표하였는데, 상세한 내용은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학술지의 11월호에 출판될 예정이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수행을 위해서 기존에 발표된 임상의사 보건 연구 2단계에서 도출된 데이터들을 종합 분석하였는데, 이 데이터베이스에는 1997년도부터 시작하여 총 14,641명의 남성 의사들의 건강 기록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모두 관련된 데이터가 수집된 시점에 50세 이상이었다. 연구진은 이들을 임의로 선택하여 한 집단에는 매일 종합 비타민 영양보제를 복용하도록 하고 또한 다른 집단에는 가짜 영양제를 복용하도록 하였다. 연구진은 11.2년에 걸친 추적 연구를 통하여 종합 비타민 영양보조제 복용 집단과 복용하지 않은 집단별로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비율, 심장발작 또는 뇌졸중 발생 빈도수를 비교한 결과 나이, 흡연여부, 아스피린 복용여부, 고지질증, 당뇨병 또는 심장병 요인들을 감한 하여 분석하여도 두 집단 사이에 별다른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Sesso 박사는 심장병 예방을 위해서 비타민 영양보조제를 복용할 필요성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미국 임상의사 보건 연구를 통하여 2주 전에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학술제 발표된 논문에서는 비타민 영양보조제를 복용하면 암 발생 위험성이 8% 감소된다고 주장된 바가 있다.

 

이와 같은 주장과 연관하여 미국 하버드 의대의 Dariush Mozaffarian 박사는비타민 영양보조제를 복용하는

사람의 경우 약이 건강 개선에 도움이 되므로 생활 습관의 개선이 별도로 필요없다고 오해할 소지가 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종합 비타민 영양보조제는 복용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이 건강을 빠르게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이와 같은 생각은 매우 위험하여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비타민 영양보조제를 복용하는 사람일수록 식이조절을 하지 않거나 운동을 하지 않으며 또는 흡연을 지속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지적하였다. Sesso 박사도 이와 같은 Mozaffarian 박사의 의견에 동조를 표하면서종합 비타민 영양보조제를 복용하는 대다수가 건강상에 문제 발생을 예방할 목적으로 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비타민 영양보조제가 암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을지는 모르지만 심혈관 질환 예방 효과는 없다고 주장하였다.


출처 : http://mirian.kisti.re.kr/gtb_trend/pop_gtb_v.jsp?record_no=234116&site_code=SS1026

-----------------------------------------------------------------------------

비타민에 대한 생리활성 효능에 대해서는 찬반론이 격렬하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비타민은 생명현상의 유지에 필수적인 요소이어서  결핍시 건강에 해로우며, 동시에  과다 복용시 부작용이 발생한다. 그리고 합성비타민과 천연비타민에 대한 의견도 분분하다. 따라서 식사를 통한 비타민의 섭취가 충분하다면, 굳이 비타민제제를 따로 섭취하는 것은 오히려 건강에 해로울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 Recent posts